728x90
반응형
- 글로벌 경제지표
- 한국증시 마감시황
- 중국증시 마감시황
- 뉴욕증시 마감시황
- 뉴욕유가 WTI
- 국제/국내 금시세
- 다음 주요뉴스
1. 글로벌 경제지표
2. 한국증시 마감시황
- 연휴 마친 한국증시 코스닥 4% 이상 급락, 코스피 2% 가까이 하락하며 2200선 붕괴
- 미국의 중국향 반도체 수출 규제, 반도체 업황 둔화, 자동차 업종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 등의 악재가 반영
- 오후 들어 외국인이 전기전자업종에 대한 반발매수를 확대하며 낙폭 축소



3. 중국증시 마감시황
- 11일 중국 증시 모처럼 반등세
- 전기차 배터리 대장주 CATL등 일부 기업의 호실적 전망과 전날 급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로 상승 마감
- 다만 중국 내 코로나 19 재확산세로 리오프닝 업종이 이틀 연속 하락세
-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보다 0.0083위안 올린 7.1075위안으로 고시
-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0.12% 하락한 것
- 환율을 올렸다는 건 그만큼 위안화 가치가 하락했음을 의미
4. 미국증시 마감시황
- 기업들의 분기 실적 발표와 소비자물가지수 (CPI)를 앞두고 국채금리 움직임 주시
- 국제통화기금 (IMF) 전 세계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경기 침체 우려로 이동
-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는 미국이 6~9개월 내 경기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
- IMF는 이날 인플레이션과 긴축 재정, 코로나 19등을 반영해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 기존 2.9%->2.7% 하향
-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과 같은 3.2% 유지
- 메타의 주가는 러시아가 테러리즘과 극우주의 관련 기관 목록에 메타를 포함했다는 소식에 4%가량 하락
5. 뉴욕유가 WTI
- 최근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움직임과 중국의 지표 부진에 따른 수요 둔화 우려에 하락
- 중국 당대회 앞두고 코로나 19 방역을 강화하고 있어 경기가 추가로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 ↑
- OPEC+ 산유국 협의체가 감산에 나서며 공급을 줄이고 있으나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는 점은 유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
- 최근 전 세계 원유 재고가 증가한 것은 공급이 과잉 상태임을 시사
- 수요 불확실성과 많은 선진국의 침체로 회원국들이 합의를 달성하기가 점차 어려워질 수 있어
- OPEC+ 산유국들이 생산 쿼터를 수정하고 가용 공급량을 조절해 원유시장의 균형을 맞추려고 노력할 것
6. 국제 / 국내 금 시세
7. 다음 주요뉴스
https://finance.daum.net/news#economy
뉴스 | 다음 금융
finance.daum.net
반응형